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삼성각17

중대 사자암 적멸보궁 천년고찰 여행일기 3 - 비로전 삼성각 여행의끝 사자암비로전으로 내려간다.계속 움직이니 땀이 나오고 매우 덥다.  적멸보궁에서 내려오니 공양물판매점과 비로전이 저 멀리 보인다.공양물판매점 옆에는 언제 했는지 모를 장작들이 한쪽 벽에 가득히 채워져 있다.나무보일러를 때는 입장에서 보면 참 보기만 해도 배가 부르다.풍족하고 더할 나위 없어 보인다. 사찰 공양품 판매점사찰 기념품 판매점이 길 너머 비로전이 보인다.그전에 비로전과 공양물판매점 사이에 있는 약수터에서 목을 축이고 가야겠다. 사자암 약수터 옥계수약수, 약수터높은 고지에서 오르내리니 몸에서는 열이 나고 땀 도나고 갈증이 난다. 비로전 옆에 콸콸 흐르는 약수가 있으니 이 물을 먹고 수분보충을 좀 해야겠다. 비로전 뒤에 가니까 최초 물이 나오는 곳으로 보이는 곳이 보인다.이곳의 약수의 이름이 옥계수인.. 2024. 6. 17.
정선 정암사 적멸보궁 여행일기 4 - 관음전과 삼성각 둘러보기 처음문수전의 뒤편과 육화정사 사이에 작은 수돗가를 지나쳐 문수전 뒤로 오르는 계단으로 간다.계단 앞에는 큰 바위가 있는데 그곳에 쇠못을 박고 이정표를 고정시킨 듯 보인다. 관음전과 삼성각 자장각이 있다고 한다.계단은 너무나도 잘 정비되어 마치 콘크리트 계단을 오르는 듯 발에 걸리는 무엇도 없었고보이는 바와 같이 이 사찰은 하늘에서 먼지가 내려앉지 않는 사찰인 듯 깔끔한 느낌을 준다. 관음전관음전이다.그다지 높지는 않지만 숨을 헐떡이는 저질체력이다.이렇게 보니 쫌... 멋있기도 하다.어간문이라는 글자가 분명하게 쓰여있다.참배객들은 좌 우측 문을 이용해야 한다. 1년연등이 아닌 기간제 연등을 달고 있다.관세음보살관세음보살관세음보살님이다. 한 손에 버드나무 가지를 들고 한 손에는 감로수 병을 들고 계시며 머리.. 2024. 6. 5.
영월 법흥사 적멸보궁 여행일기 2 - 포대화상 극락전을 지나 삼성각까지 참배 처음원음루를 바로 지나서 가면 오르막길이 나온다. 돌을 깔아 두고 그 사이 시멘트로 평평하게 마무리해 두었다.자연스러우면서 예뻐 보인다.낙엽 같은 것들도 치우기 편해 보인다.포대화상 포대화상조금 올라가니 포대화상님이 있다.간단히 참배하고 가야 할 길을 간다.저 뒤에 무언가 건물이 보이는데 극락전인가 보다. 이야.. 향나무다.개인적으로 향나무가 참 예쁜 것 같다.포대화상님 뒤로 관세음보살님이 보이고 그 앞에 소나무가 멋지게 있다. 약수터약수, 약수터약수터다.사자산이라서 사자얼굴이 있는 건가?약수가 있으니 반갑다. 나중에 물 좀 받아가려 한다.약수터 옆에는 뭔지 모를 비석이 있다.약도를 보니 징효대사 보인탑비라고 한다.비석이야 그렇다 쳐도 저 뒤에 있는 탑은 부도탑인 건가? 징효대사님의 사리가 있는 것인가?.. 2024. 5. 13.
만의사 여행일기 5 - 지장전과 천불전 그리고 500나한전과 삼성각 참배 끝. 지장전에 왔다.전체적으로 한글로 되어 있는 현판이 참 마음에 든다.정락큰스님내부에는 정사각형의 현수막에 큰스님의 사진과 설명이 있다. 연등 접수 한다는 설명과 함께 여러 가지 의식에 대한 비용이 적혀있다.  지장전은 입구와 내부를 분리한 형태로 문을 한번 더 열고 들어가야 하는데 문을 열면 알 수 없는 위압감이 느껴졌다. 이 정도에서 조용히 참배하고 뒤돌아서 나가기로 한다. 한쪽에 인등인지 위패인지 무수히 많은 등이 있다. 미륵보살밖으로 나와 천불전이 있는 가장 뒤편을 향해 오른다.그 길에 미륵보살님을 발견하고 참배한다.좌우에 해태가 지키고 있다. 천불전천불전이 있다. 그리고 좌측 건물에 부처님 나라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저곳은 500 나한전이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 할 정도로 나한님들이 많다.이때 당시.. 2024. 5. 7.
불암사 여행일기 - 경기도 남양주에 약수청정 약사도량 2 처음약사여래 병고액난을 소멸시켜 주시는 부처님대웅전 대웅전 석가모니 부처님이 계신 곳이다.문이 열려있고 여러 신도들께서 기도하고 계신다. 석가모니 부처님과 좌우 보처보살님.오른쪽은 어떤 분이신지 잘 모르겠다.왼쪽에 지장보살님이 계신다. 화엄성중화엄성중, 신중탱화한쪽 벽에 신장님들이 계신다. 범종각 범종각의 범종이다.아래쪽 홈이 원형이 아닌 사각인 것이 특징이다. 지장전지장전이 따로 있다.대웅전에도 계시지만 지장전이 별도로 있다. 지장보살 지장보살 지장보살님께 소원을 빌어본다. 삼성각이지만 각각 별도의 현판을 달았다.칠성각 산신각은 친근한 현판이다.그러나 신통전은 우리가 알던 독성각과는 다른 이름이다.칠성신, 칠원성군, 사부칠성칠성님이다.칠성각에는 칠성님 한분만 모시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곳은 좌우에 보살.. 2023. 12. 22.
충남 공주 동학사 여행일기 4 - 계룡산의 기운이 충만한 천년고찰 - 사찰입장 처음대웅전 옆의 건물이다.게시판을 보면 육화료인 것 같다.  바로 앞에 물이 있었던 흔적이 있다.  경내 입장멋진 건물의 바로 옆에 법당으로 향하는 계단이 있다. 대웅전대웅전이다.대웅전계단을 올라 대웅전 마당에 도착하면 바로 탑이 있다. 삼층석탑에 대한 설명 아기부처님  삼존불삼존불세분 부처님이 계신다. 좀 더 확대하니 아미타부처님과 석가모니부처님 약사유리광여래부처님이 계신다. 석가모니 아미타불 약사여래좌측으로 탱화가 있다. 우측도 역시 신장님들과 부처님의 탱화가 있다. 연등이 빼곡하다. 정면 부처님 추웠지만 햇살이 따스했다.잠시 기도하고 햇살에 녹이며 명상을 한다. 대웅전의 세 분 부처님에 대한 설명이다.  계단은 새로운 돌과 과거의 돌이 섞여있다. 종무소마당에서 대웅전의 오른편에 종무소가 있다. 종무.. 2023. 3.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