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구분법10 칠성신 치성광여래불 구분법 1. 누구인가?북두칠성에 해당하는 신이며 칠성신, 칠성대왕, 칠성여래, 치성광여래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칠성조각상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칠성신의 이름을 다 알 필요는 없다.칠성탱화(칠성도, 치성광여래도)에는 일광, 월광여래와 함께 삼존불로 모시며 7개의 별이 북두칠성이듯 7인의 여래를 그려넣음으로써 칠성여래를 표현한다.7개의 별은 즉 7명의 부처이다.칠성신은 수명과 재물을 관장하는 신으로서 아픈 중생들의 기댈 곳이 되어 주시며 비를 주시고 풍년이 들도록 해 주신다.2. 전각칠성여래는 단독으로 모실 때에는 칠성각에 모셔지며 삼성각에 모실 때에는 산왕대신, 독성존자와 함께 중앙에 모셔진다. 3. 구분법일반적으로 선정인과 비슷한 모습으로 양손을 모은 후에 법륜을 들고 있는 모습이 가장 강렬한 모습이다.칠.. 2024. 7. 26. 약사여래불 구분법 1. 누구인가?불교에서 동방정유리 세계의 교주의 자리에 계시며 이름과 같이 중생들의 병을 고쳐주는 부처님으로 잘 알려져 있는 부처님이다.2. 전각약사여래불이 계시는 곳은 약사전이다.다른 곳에 계시기도 하는데 그곳은 대적광전이다.대적광전은 석가모니을 중심으로 비로자나불과 노사나불을 모시기도 하며또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하여 비로자나불과 아미타불을 모시기도 한다.그리고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하여 미륵보살과 갈라보살을 모시기도 하니 어찌 되었든 세분의 부처님을 모신 후 좌우에 약사여래의 아미타불을 모시니 오불이 봉안되는 것이다. 공원형식으로 조성된 사찰에서는 약사여래불을 밖에 모셔두기도 한다.그 예로 용인 와우정사 가 있다. 3. 구분법탱화에서 부처님의 양옆에 하얀 구슬과 붉은 구슬을 든 보살이 있을 것이다.. 2024. 7. 18. 보현보살 구분법 1. 누구인가?실천과 자비를 상징하는 보살로서 주로 코끼리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코끼리는 실천의 상징으로서 여겨진다.성인보살의 모습과 동자보살의 모습이 있는데 동자의 모습일 때 코끼리를 탄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화엄경에서 비로자나불 밑에서 불법을 닦던 보살이다.2. 전각대웅전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협시보살로서 문수보살과 함께 있다.늘 그런 것은 아니다. 지장보살과 관세음보살을 모시기도 하며 때로는 대세지보살을 모시기도 한다. 대세지보살을 모셔두었는데 명패와 같은 아무런 표식이 없을 경우 알아차리기 매우 어려울 때가 있다.모든 불자들이 공부를 투철하게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모르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안동 모운사의 경우에는 법당에 석가모니불과 법기보살, 관세음보살이 모셔져 있다... 2024. 7. 14. 석가모니불 구분법 석가모니불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조금만 검색하면 백과사전급으로 자세하게 나오므로 여기서는 필요한 내용만 간략하게 다루고자 한다. 1. 누구인가?인도에서 깨달음을 얻고 불교를 탄생시킨 만인의 스승이시자 불교의 교주이다. 2. 전각대웅전은 법화경에서 석가모니불을 위대한 영웅으로 가리킨 데서 비롯된 말이며대웅보전은 대웅전을 더 격상시켜서 부르는 말이다.일부 교단에서는 한글현판을 사용하며 큰 법당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석가모니불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해당 사찰에서 가장 큰 법당이라는 뜻이며 석가모니불이 모셔져 있지 않을 수도 있다.3. 구분법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하여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모시는 것이 기본이다. 대웅보전의 경우는 석가모니불과 좌우에 아미타불, 약사여래불이 모셔지기도 하며.. 2024. 7. 10.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