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기도3 도봉산 망월사의 추억일기 지금으로서는 참 많은 시간이 지나버렸다.친구의 집에 얹혀살 때였던가? 아니면 그 이전 고향에서 지내며 사찰 투어를 다니겠다며 우르르 몰려다니던 그때이던가?기억은 가물가물하다.지나고 보니 사진이 너무 없어서 여행일기로서 사찰의 구석구석을 기록하고자 할 때 필요한 준비물이 너무 부족하다.그때 당시에는 아이폰5였다.틀림없이 많은 사진을 찍어두었으나 구형 아이폰은 많은 사진들을 소멸시켜 버렸다.지금까지 사진이 남아있다 하더라도 화질이 매우 좋지 않았을 것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참 아쉽다.기운을 잘 느끼는 지인이 도봉산을 오르며 망월사에 가는 길에 이곳에 기가 모인다 하던 자리도 기억난다.긴 시간 등산을 하고 망월사에 도착한 후 비탈진 산 구석구석 들어선 규모 있는 사찰의 모습은 나를 놀라게 하기에 충분했고, 비.. 2024. 10. 21. 만의사 여행일기 4 - 대웅전을 본 후 산신각으로 향하다. 처음종무소를 지나 올라가면 대웅전이 나온다.대웅전 기둥에 좋은 말씀 적혀있다. 석가모니석가모니중앙에 석가모니 부처님과 양옆에 두 분 부처님이 모셔져 있습니다.안타깝게도 저는 두 분이 어떤 분인지 알지 못하였습니다.약사여래부처님과 아미타부처님일수도 있으나 수인이 같고 손에 든 것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아마도 아미타부처님인것은 알 것 같습니다. 화엄성중한쪽벽에 신장님들이 있습니다.화엄성중, 신중탱화 인등이 빼곡히 있다. 간간히 빠진 이름표가 보인다. 부처님을 옆에서 바라보았다. 더 잘 나온것 같다.화엄성중한쪽에 지장보살님이 있다.지장보살 모든 분들께 참배하고 대웅전을 나선다.대웅전 앞마당에 석탑이 있다. 미처 담지못한 사진이었지만 대웅전을 나서며 찍은 덕분에 탑을 남긴다. 산신각대웅전의 뒤편에 산신각이.. 2024. 5. 6. 만의사 여행일기 2 - 포대화상, 범종각, 소원성취의종, 가사불사 공덕 처음 경기도 화성시 풀무골로 219번지 천왕문을 지나면 커다란 공터가 나온다.공터 정면을 지키고 계시는 분이 있다.포대화상이시다.포대화상 미륵불의 화신이라고도 하며 대자대비하신 분이라 하신다.옆에 비석도 있어서 알아볼 수 있게 되어 있다.한자가 없어서 정말 너무너무 좋다.인도에서 불교가 없어진 것은 너무 어려워서라고 들었다. 너무 좋다. 단지 읽을 수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소원성취의종옆에는 소원성취의 종이 있다. 누구나 칠 수 있는 것인가?모른다. 큰 규모의 범종이다. 범종각조금 더 오르면 사찰에서 예불 때 쓰이는 것으로 보이는 범종이 보인다.그런데 규모가 더 작아 보인다.그렇다면 소원성취의 종이 더 나중에 지어졌고, 예불 때 쓰이는 것일까?범종각, 범종루 넓은 공터가 나온다.소원성취의 종과 범종각 .. 2024. 4. 2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